#부산 #제주할매순대국밥 #수육백반
* 한줄평 : 부산 영도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돼지국밥 노포
1. 부산 영도 남항시장의 좁은 골목을 걷다보면 1975년부터 자리를 지켜온 <제주할매 순대국밥>을 만나게 된다. 제주 출신 오복생 할머님께서 문을 연 이 식당은 이제 칠순을 바라보는 아들 내외가 그 바통을 이어받아 반백년 세월을 한결같이 변함없는 맛을 내며 부산 영도의 터줏대감 역할을 하고 있다.
2. 돼지국밥은 부산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으로 그 뿌리는 한국 전쟁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그 이전에도 돼지고기와 뼈를 삶아 먹는 탕반 형태의 음식이 있었으나 현재 우리가 관념적으로 인지하는 돼지국밥의 태동은 그 즈음으로 본다.
3. 한국전쟁 당시 부산은 국군와 연합군이 낙동강 전선을 지켜냄으로써 유일하게 북한 공산당군에게 침공당하지 않은 대도시로 피난 정부가 세워졌던 곳이다. 그리하여 부산은 당시 전국 팔도에서 몰려든 피난민들이 터를 잡으며 생계를 이어나가던 삶의 터전이었다. 당시 고기는 귀한 식재료였고, 값비싼 소고기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돼지 뼈와 부속물을 활용해 만든 돼지국밥은 고향을 잃은 피난민들에게 따스함을 건네는 <위로>였을테다.
4. 어떠한 연유로 제주의 오복생 할머님께서 영도에 자리잡았는지 연원을 알 수 없으나 거칠었던 대한민국의 현대사 흐름 속에서 아마 우리가 예상하는 그 범위를 크게 벗어나진 않았을 것 같다.
5. 어찌됐거나 이 집에서 꼭 경험해봐야 하는 음식은 <제주식 찹쌀 순대>이다. 제주식 순대는 본토와는 달리 야채를 사용하지 않고 찹쌀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쫀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제주말로 순대를 <순애>라고 하는데 며칠간 이어지는 가문잔치(혼례)의 대표 음식으로 소독 효과가 있는 초간장에 찍어먹는 것 역시 제주식 순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6. 이미 부산에 자리잡은지 반백년이 흘렀으니 온전한 제주식 순대는 아닐지라도 앞서 언급한 특징이 잘 녹아 있는데다 재래 시장 특유의 소박한 정겨움이 식당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어 먹는 내내 흥겨웠더랬다.
7. 정갈하게 썰어낸 삼겹살 수육백반 역시 일품이다. 얇게 썰어낸 삼겹살 수육은 기름기가 적당히 녹아들어 부드럽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내가 부산을 찾을 때마다 꼭 한 끼니는 돼지국밥을 우선 순위로 두는 이유는 아마도 부산의 돼지국밥은 음식을 넘어 부산의 소울을 담고 있어서이지 않을까 싶다.
오늘 맛본 부산이 참 맛있었다.
식목일맨
시장 한가운데 있었던 국밥집
돼지냄새가 많이나고 쿰쿰할거라는 의심과 달리
매우 깔끔한 맛이어서 놀랐다
윽히 모둠순대에서도 내장과 간 모두 비린맛 없이 고소했으며, 순대는 적당한 향과 식감이 어우려져 역겨운 맛 없이 요리를 먹는 느낌이었다
국밥에 다대기와 부추를 그냥 미리 때려넣어 주는 자신감에 놀랐고, 맛을보니 짜지않고 깔끔한 맛에 한번 더 놀랐다
위치가 영도라서 아쉽지만 만약 가게 될 일이 있다면
이곳 추천
대구 촌놈
부산 영도 남항시장에 위치한 곳이며 로컬맛집이다. 손님들은 남자 어르신들이 많았다. 반주를 할 정도이다. 누구나 다 아는 유명 요리전문가가 방문한 날은 휴무날이라 옆집에 갔다는 썰이 있을 정도로 정말 맛있는 곳이다. 물론 호불호가 좀 심한 편일 수가 있다. 돼지고기 특유의 잡내가 있는 편이다. 그런데 역한 편은 아니지만 싫어하는 분도 분명히 있을지니 참고하시길.. 개인적으로 누린내는 처음에 좀 적응하기 힘들었지만 머릿고기 때문에 잡내, 잡생각이 사라졌다..다대기를 충분히 풀어 먹으면 그깟 냄새 쯤이야..ㅎ 그리고 일단 가성비가 정말 좋다. 요즘 돼지국밥도 지방도 8천 원 하는 곳도 드물 정도인데.. 거기다가 양도 충분히 많다. 가게 들어서면 누린내가 좀 심하지만 고기 하나는 맛있다. 무조건 머릿고기를 한 접시 시켜야 한다.! 이곳이랑 바로 옆집 재기 국밥이랑은 결이 달라서 본인 취향이 따라 선택하면 된다.